본문 바로가기

Middle School/Language

우리말의 문장

우리말의 문장

01 문장의 유형

종결 어미 : 문장을 끝나게 하는 어미, 문장의 유형을 구분

- 평서문

듣는 이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것 없이,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다, -네, -ㅂ니다)

-의문문

말하는 이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니, -는가, -ㅂ니까)

- 명령문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떠한 행동을 요구하는 문장(-어다, -게, -십시오 등)

- 청유문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도록 요청하는 문장(-ㅂ시다, -자, -세)

- 감탄문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의식하지 않거나, 독백하는 상태에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구나, -군)


문장의 종결 표현의 기능

문장 끝의 억양으로 뜻이 나눠지는 경우 : 종결 어미가 같아도, 다른 의미를 갖는 경우

문장 끝의 억양으로 의미를 구분한다

유형이 같아도 다른 의도를 나타내는 경우

- 판정 의문문

듣는 이에게 예, 아니오의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 (ex : 너 지금 집에 가니?)

- 설명 의문문

듣는 이에게 구체적인 설명으로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 (ex : 너희 집은 어디니?)

- 수사 의문문

듣는 이에게 반어적으로 물어보는 의문문(ex : 내가 너희 집도 못 찾아가겠니?)

- 명령 의문문

명령, 금지, 권고의 뜻을 지님(ex : 발 좀 내려주시겠습니까?)

종결 표현은 다양한 의도를 표현 가능->상황에 맞는 사용 필요


02 문장의 확대

둘 이상의 문장이 결합하여 하나의 문장을 만드는 것을 문장의 확대라고 한다. 

홑문장과 겹문장

- 홑문장 :

주어와 서술어가 하나씩 있어서 그 관계가 한 번만 이루어진 문장(ex : 꽃이 피었다)

- 겹문장 : 한 문장 안에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ex : 꽃이 피었고, 꽃이 예쁘다 | 꽃이 예쁘게 피었다)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이 연결 어미로 이어진 겹문장

-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홑문장 A와 B가 필요충분조건, 역이 성립)

두 개 이상의 홑문장이 대등한 관계를 이루며 결합된 문장
1) 종결 어미 '-고, -(으)며, -(으)나, -지만' 등으로 이어진다.
2) 결합된 홑문장의 앞 뒤 순서를 바꾸어도 성립된다.
3) 두 홑문장은 나열, 대조 등의 의미 관계를 가진다.

1)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
사람은 책을 만든다 + 책은 사람을 만든다(나열)

2) 꽃이 피었지만, 열매는 열리지 않았다.

꽃이 피었다 + 열매가 열리지 않았다 (대조)

-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역이 성립하지 않고 A가 B의 충분조건이 된다)

두 홑문장이 서로 독립되지 못하고, 앞 문장이 뒤의 문장의 조건이 되는 문장
1) 종결 어미 '-아서, -니까, -면, -거든, -려고' 등으로 이어진다.
2) 결합된 두 홑문장의 앞 뒤 순서를 바꾸면 성립하지 않는다.
3) 두 홑문장은 원인, 조건, 의도 등의 의미 관계를 가진다.

1) 책을 많이 읽으면 생각이 깊어진다.

책을 많이 읽는다 + 생각이 깊어진다(원인과 결과)

2) 우리 몸은 에너지를 얻으려고 호흡을 한다. 

우리 몸은 에너지를 얻는다 + 우리 몸은 호흡을 한다(의도)


안은문장

안은문장 : 홑문장을 포함한 문장

안긴문장 : 안은 문장 속에 들어가 하나의 문장 성분처럼 쓰이는 홑문장 - '절'

명사절

주어, 목적어, 보어의 기능을 하는 절 

-ㅁ, -기

이 시험에서 만점을 맞기는 힘들다 

관형절

관형어의 기능(명사 수식)을 하는 절 

-ㄴ, -는, -ㄹ, -던

 다음 교시는 재미있는 국어 시간이다

부사절

부사어의 기능(용언 수식)을 하는 절

-게, -도록

국어 선생님은 눈이 부시게 아름답다 

서술절

전체 문장에서 서술어 역할을 하는 절

절 표지 X, 서술어의 기능

 기린이 목이 길다

인용절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한 절

인용격 조사 '라고', '고'

 길 건너의 남자가 뭐라고 말하였다


중의적 표현

하나의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뜻으로 해석되는 문장

-> 뜻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뜻이 명확하게 문장을 바꾸는 방법

1) 반점을 사용한다
2) 어절의 위치를 바꾼다
3) 어미의 종류를 바꾼다








Print Friendly an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