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ddle School/Language

작품의 의도와 맥락(1) - 시조 두 수 시조 두 수훈민가 - 정철갈래평시조성격교훈적, 직설적, 계몽적제재좋은 벗의 가치주제좋은 벗의 소중함특징1) 쉬운 언어를 사용하여 백성들을 가르치고자 함 : 훈민(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2) 설의적 표현(문장을 의문형으로 표현하여 강조함 c.f 수사 의문문)을 사용함 : 독자가 스스로 결론을 내리게 함 굼벵이 매미가 되어 - 작자 미상갈래평시조성격우의적, 교훈적제재벼슬살이 처세주제벼슬길의 험난함을 경계하라특징1) 우화적으로 풍자(동물에 빗대어) : 벼슬살이의 위험을 우의적으로 풍자2) 명령형 어미를 사용하여 교훈을 직접적으로 전달시조우리 민족이 만든 독특한 정형시, 노래의 가사(즉, 노래이며 동시에 문학이다)- 시조의 특징1) 3장 구성 : 초, 중, 종장2) 글자수 : 6구, 45자 내외3) 운율 .. 더보기
효과적인 표현 : 보리 효과적인 표현보리 - 한용운 갈래수필성격애찬적, 교훈적제재보리주제보리의 강한 생명력을 예찬, 고진감래(苦盡甘來)구성시간의 흐름을 따른 구성.가을농부가 보리를 찬 땅 속에 심음겨울보리가 겨울의 시련을 이겨 냄봄보리가 온 세상에 무성하게 자라남여름보리가 익어 농부가 수확함특징다양한 비유를 활용하여 화려한 느낌을 줌 보리를 통해 삶의 교훈을 드러냄(성찰)- 강인한 생명력 : 겨울에도 깊이 뿌리박고 자라는 보리- 인내와 덕성 : 겨울을 견뎌내고 봄이 되자 싹틔우는 보리-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삶 : 농부에게 기쁨을 주는 보리보리를 의인화하여 표현함다양한 표현 방식비유 원관념을 보조 관념에 빗대어 표현 : 생각, 정서를 생생하게 전달 직유 '~처럼', '~같이' : 원관념을 보조 관념에 직접 빗댐 은유 직접.. 더보기
우리말의 문장 우리말의 문장01 문장의 유형종결 어미 : 문장을 끝나게 하는 어미, 문장의 유형을 구분- 평서문듣는 이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것 없이,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다, -네, -ㅂ니다)-의문문말하는 이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니, -는가, -ㅂ니까)- 명령문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떠한 행동을 요구하는 문장(-어다, -게, -십시오 등)- 청유문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도록 요청하는 문장(-ㅂ시다, -자, -세)- 감탄문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의식하지 않거나, 독백하는 상태에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구나, -군) 문장의 종결 표현의 기능문장 끝의 억양으로 뜻이 나눠지는 경우 : 종결 어미가 같아도, 다른 의미를 갖는 경우문장 끝의 억양으로 의미를 구분한다유형이 같.. 더보기
우리말의 어휘(2)-어휘의 의미 관계 우리말의 어휘02. 어휘의 의미 관계동음이의 관계두 단어가 소리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관계1) 우연히 소리가 같지만, 어원은 다르다2) 문맥이나 상황을 고려가 필요하다3) 국어사전에 다른 단어로서 표시됨 다의 관계하나의 소리에 두 가지 이상의 관련된 의미가 결합되어 있는 관계1) 의미들 사이에 관련이 있어 사전에서 하나의 단어로 취급한다2) 문맥과 상황의 고려가 필요함 유의 관계두 개 이상의 단어가 소리는 다르지만 뜻이 비슷한 관계1) 의미가 비슷하지만 같지 않다2) 상황에 따라 사용하면, 풍요로운 어휘를 사용할 수 있다ex) 선생님-스승, 틈-겨를(틈 : 주로 물리적 틈새에 사용, 겨를 : 주로 시간적인 개념에 사용), 속셈-암산 반의 관계둘 이상의 단어가 짝을 이뤄 대립하는 관계- 한 가지의 의미 요.. 더보기
우리말의 어휘(1)-어휘의 다양한 유형 우리말의 어휘01. 어휘의 다양한 유형기원에 따른 분류고유어예로부터 전해져 온 우리 민족의 단어-> 민족 특유의 문화와 정서가 어우러져 있어, 정서적 감수성을 풍요롭게 한다ex) 들, 바람, 꽃, 미르(용), 내(하천), 한가위 등 한자어중국 한자를 기반으로 한 단어1) 중국, 일본에서 들여온 단어 외에 우리 민족이 만든 단어 또한 존재한다2)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용이하다.3) 정확하고 세분화된 의미를 설명하기 용이하다ex) 등산(오를 등登, 뫼 산山 : 산을 오르다), 오락(즐거워할 오 娛, 즐길 락 樂 : 즐기다) 외래어다른 나라에서 들여와 우리말처럼 쓰는 단어1) 문화, 경제적 교류로 들어온 단어이다2)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문화 자긍성이 손상되고, 언어의 정체성을 흔들 수 있다.. 더보기
능동적인 읽기(2)-오아시스 세탁소 습격 사건 능동적인 읽기02 오아시스 세탁소 습격 사건연극과 영화 연극영화공통점일정한 시/공간적 배경을 바탕으로 인물의 갈등과 해소를 전달하는 예술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요소가 반영됨 차이점배우가 관객을 대상으로 무대에서 연기 시공간적, 등장인물 수의 제약이 존재 대본 : 희곡 배우의 연기를 촬영하고 편집한 영상 시공간적, 등장인물 수의 제약이 덜함 대본 : 시나리오 - 희곡의 구성 요소1) 해설 : 희곡의 첫머리에서 등장인물, 배경, 무대 장치등을 설명하는 글 2) 대사 : ① 대화 - 등장인물 사이에서 주고받는 말② 독백 - 등장인물이 상대방 없이 혼자 하는 말③ 방백 - 무대 위의 다른 인물에게는 들리지 않고, 관객에게만 들리는 것으로 약속하고 하는 말/행동3) 지시문 : 무대장치, 조명, 음향효과.. 더보기
능동적인 읽기(1)-나룻배와 행인 능동적인 읽기01 나룻배와 행인나룻배와 행인 종류자유시/서정시 운율내재율 성격명상적, 상징적어조여성적 어조 제재나룻배, 행인 주제희생과 인내를 통한 참된 사랑 특징- 헌신적인 사랑과 기다림의 의지 - 경어체를 통한 여성적 어조로 희생, 기다림을 효과적으로 표현- '나룻배'와 '행인'의 서로에 대한 태도나룻배 행인 4, 5행행인을 업고 물을 건넘 3행흙발로 나룻배를 짓밟음 6, 9 행 행인을 기다림 8행 행인이 올 것이라는 것에 대해 희망을 가짐7행물만 건너면 나룻배를 두고 가버림결론 : 나룻배는 행인에게 헌신적이고 희생하지만, 행인은 나룻배에게 무관심함- 시적 화자가 자신을 나룻배에 빗대어 표현한 이유 시를 해석하는 방법 작품 자체에 중점을 두고 해석(내재적 관점) 작품 밖에 중점을 두고 해석(외재적 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