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ddle School/Language

능동적인 읽기(2)-오아시스 세탁소 습격 사건

능동적인 읽기

02 오아시스 세탁소 습격 사건

연극과 영화

 

연극

영화

공통점

일정한 시/공간적 배경을 바탕으로 인물의 갈등과 해소를 전달하는 예술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요소가 반영됨 

 차이점

배우가 관객을 대상으로 무대에서 연기

시공간적, 등장인물 수의 제약이 존재

대본 : 희곡 

배우의 연기를 촬영하고 편집한 영상

시공간적, 등장인물 수의 제약이 덜함

대본 : 시나리오 

- 희곡의 구성 요소

1) 해설 : 희곡의 첫머리에서 등장인물, 배경, 무대 장치등을 설명하는 글 
2) 대사 : 
① 대화 - 등장인물 사이에서 주고받는 말
② 독백 - 등장인물이 상대방 없이 혼자 하는 말
③ 방백 - 무대 위의 다른 인물에게는 들리지 않고, 관객에게만 들리는 것으로 약속하고 하는 말/행동
3) 지시문 : 무대장치, 조명, 음향효과 등을 지시하는 무대지시문 + 인물의 행동, 동작, 표정 등을 지시하는 동작지시문

- 희곡의 구성 단위

막 : 무대의 막(커튼)이 오르고 내리는 단위

장 : 독립된 장면, 배경의 변화나 등장인물의 변화로 구분 -> 장이 모여 막이 된다.


오아시스 세탁소 습격 사건

1) 시간적 배경 : 현대

2) 공간적 배경 : 오아시스 세탁소

3) 등장인물 : 강태국, 장민숙, 강대영, 서옥화, 염소팔

4) 주제 : 정직하고 올바른 가치 추구

글의 짜임

발단 

전개 

절정 

하강 

대단 

안씨 일가가 할머니의 옷을 찾기 위해 난동, 서옥화의 중재

할머니의 옷을 찾으러 

안씨 일가가 세탁소로 침입

난장판이 벌어지고,

강태국이 할머니의   빨래를 찾음

강태국이 사람들을 

세탁기 안으로 집어넣음

강태국은 할머니의 비밀이 적힌 눈물고름을 태우고,

세탁기 안의 사람들 세탁됨

발단

무대 장치의 역할 : 세탁소의 오래됨을 표현
강태국 - 선량하고 인정이 많음 -> "어머님 자식들은 맞나요?", 앞부분 줄거리 등

전개

안씨 일가가 세탁소에서 난동을 부린 이유가 밝혀지고, 서옥화의 중재
- 갈등 양상 : 오아시스 세탁소 사람들 vs 안씨 가족, (서옥화-중재자)
- 장민숙의 심정 : 서러움, 억울함, 강태국에 대한 원망 - '세탁소나 하니까 사람이 사람 같지 않다 이거지~한 보람이래요?)
- 서옥화 : 중재자의 역할, 문제 해결 방법 제시 -> 안씨 가족 태도가 달라짐(50% 제시 등의 설득)
- 50%의 역할 : 갈등 양상을 변화/심화시킴, 강태국 vs 나머지 사람들(서옥화, 강대영, 장민숙, 염소팔 합류)
- 강태국의 분노 : 돈 때문에 서로 의심하는 가족들, 할머니 임종도 신경쓰지 않고 돈 문제에만 집착하는 안씨 일가

절정

- 사람들이 세탁소에 몰려든 이유 :
안씨 일가 - 50%를 주기 싫어서
나머지 - 할머니 재산의 50%를 얻기 위해
-> 물질주의, 황금만능주의
- 강태국, '돈 세상' :
'돈' 때문에 서로를 의심하고, 난장판을 만들고, 어머니의 임종조차 신경쓰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에 분노하여 '돈 세상'이라 함
- 강태국의 가치관 : 세탁소 일에 보람을 느낌, 인간적인 삶을 추구함
- 아버지의 역할 : 강태국의 정신적인 지주
- 동물소리와 도둑고양이 : 재산 욕심에 인간성을 잃어버린 사람들을 비유적으로 표현

하강

- 옷보따리 : 인물간의 갈등 심화
- 갈등 양상 : 강태국 vs 나머지 등장 인물(짐승 같은 모습, 인간성 상실)
-> 사람들을 세탁기 안으로 집어넣는 강태국 : 비유적 표현

대단원

- 세탁기의 의미 : 깨끗하게 정화, 인간성을 되찾음 등
- 할머니의 옷고름에 적힌 내용 : 돈은 자식들에게 전부 소모, 남은 게 없다, 형제 간 다툼이 있을까 두려우니 태워달라
- 안씨 가족의 가치관 : 돈에 대한 욕심, 황금만능주의
- '오아시스 세탁소 습격 사건'에 반영된 사회의 모습 : 인간성의 상실, 돈을 무엇보다 우선시함, 개인주의 세태

'오아시스'에 담긴 의미

오아시스는 사막에서 살아갈 수 있는 물을 공급해 주는 곳 -> 인간성이 메마른 세상에서 오아시스같은 쉼터가 되는 세탁소 
-> 인간성/순수함을 되찾는 공간

-----------------------------------------------------------------------------------------------------------------------------------------

희곡의 해석(시의 해석)

- 내재적 관점

작품 자체를 보고 해석하는 방법 :
현실, 작가, 독자 등의 외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작품 자체의 내적 요소들(문체, 표현 방식, 구조 등)을 중심으로 작품을 해석
ex) 나룻배와 행인은 남녀 간의 안타까운 사랑을 노래한 시이다.

- 외재적 관점

작가와 관련지어 해석하는 방법 :
작가의 체험과 사상, 창작 의도 등과 연관 지어 작품을 통해 작가가 무엇을 표현하고자 하는지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ex) 독립운동가였던 한용운 시인의 생애로 미루어 보았을 때, 나룻배와 행인은 독립운동가와 조국의 독립을 뜻하는 것이다.
또는 한용운 시인이 스님이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나룻배는 중생, 행인을 부처로 해석할 수 있다.

사회, 문화와 관련지어 해석하는 방법 :
작품과 현실 세계의 관계를 중시하여, 작품에서 현실을 어떻게 그려내는지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ex) 일제강점기였던 시대상으로 미루어 보아, 나룻배를 시인 자신으로, 가버려 돌아오지 않는 행인을 조국이라 해석할 수 있다.

작품이 독자에게 준 영향과 관련되어 해석하는 방법 :
ex) 나룻배와 행인은 부모님과 자식이라 해석할 수 있다. 부모님께서는 항상 나를 따듯하게 감싸주기 때문에 등등
-> 정답이 있을 수 없다.


Print Friendly and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