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어휘
01. 어휘의 다양한 유형
기원에 따른 분류
고유어
예로부터 전해져 온 우리 민족의 단어
-> 민족 특유의 문화와 정서가 어우러져 있어, 정서적 감수성을 풍요롭게 한다
ex) 들, 바람, 꽃, 미르(용), 내(하천), 한가위 등
한자어
중국 한자를 기반으로 한 단어
1) 중국, 일본에서 들여온 단어 외에 우리 민족이 만든 단어 또한 존재한다
2)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용이하다.
3) 정확하고 세분화된 의미를 설명하기 용이하다
ex) 등산(오를 등登, 뫼 산山 : 산을 오르다), 오락(즐거워할 오 娛, 즐길 락 樂 : 즐기다)
외래어
다른 나라에서 들여와 우리말처럼 쓰는 단어
1) 문화, 경제적 교류로 들어온 단어이다
2)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문화 자긍성이 손상되고, 언어의 정체성을 흔들 수 있다
ex) 버스(Bus), 스피커 등
사용 집단에 따른 분류
전문어 : 각 분야의 전문가
전문 분야에서 지식,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말
1) 해당 분야의 개념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2)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의 비중이 많아 이해가 어렵다
ex) 위드로-호프 알고리즘, 기질 특이성, 선형 독립, 기저, 벡터공간, 델타 룰, 확률적 경사감소법 등
은어 : 특정 계층, 집단의 구성원
어떠한 집단, 계층에서 다른 집단이나 계층 구성원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사용하는 말
1) 집단 내의 비밀 유지가 용이
2) 소속감과 친밀감 부여
3) 집단 외의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어려움
ex) 쇼부(합의), 바닥을 치다(주식에서 하한가를 찍다), 삼다수(닌텐도 3DS(게임기)를 일컫는 은어), 용던(용산 전자상가) 등
유행어 : 여러 사람
비교적 짧은 시기에 걸쳐 여러 사람의 입을 오르내리는 말
1) 유행어는 세태를 반영한다
2) 적절하게 사용하면 재치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3)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가벼운 느낌을, 오래된 유행어를 사용하면 시대에 뒤쳐진 느낌을 준다
ex) 뚝배기 깨다, 아무말 대잔치 등
새말과 국어 생활
새말 : 새로운 개념과 물건을 표현하기 위해 새로 생겨나는 어휘
1) 사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어 그 세태(사회의 모습)를 반영한다
2) 일정 기간 사용되다 사라지기도 하지만, 표준어로 인정되는 경우도 있다

'Middle School >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인 표현 : 보리 (0) | 2017.09.10 |
---|---|
우리말의 문장 (0) | 2017.06.29 |
우리말의 어휘(2)-어휘의 의미 관계 (0) | 2017.06.27 |
능동적인 읽기(2)-오아시스 세탁소 습격 사건 (0) | 2017.06.26 |
능동적인 읽기(1)-나룻배와 행인 (0) | 2017.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