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ddle School

기권과 우리 생활(4) - 날씨와 우리 생활 기권과 우리 생활날씨와 우리 생활기단 : 넓은 지역에 걸쳐 기온이나 습도 등이 비슷한 성질을 갖는 공기 덩어리- 기단의 발생 : 넓은 범위에 걸쳐 일정한 성질을 지닌 공기가 오래 머무를 때 발생(사막, 평원, 대양 등)- 기단의 성질 : 기단이 생성된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대륙 해양 고위도 저온건조 저온다습 저위도 고온건조 고온다습- 우리나라의 기단 대륙해양고위도시베리아 기단-저온건조오호츠크 해 기단-저온다습저위도양쯔 강 기단-고온건조북태평양 기단, 적도 기단-고온다습 전선 : 찬 기단과 더운 기단이 만나 생기는 경계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선└ 전선면- 온난 전선( ) 진행더운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올라가며 진행 속도느리다(더운 공기는 밀도가 낮아 가볍다) 비전선 앞쪽 넓은 지역에 이슬비 전선 통과 후 .. 더보기
기권과 우리 생활(3) - 기압과 바람 기권과 우리 생활기압과 바람기압 : 공기가 단위 면적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 상하좌우 모든 방향에 작용- 기압은 공기의 밀도가 높을수록 커지고,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진다(중력) ※ 계란 실험기압의 측정 : 토리첼리 수은 기둥 실험 바람 : 공기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방향은 지표면 기준)- 지표면이 가열되는 정도가 달라 기압차가 발생하고, 이 때 발생한 기압차로 인해 공기 밀도차가 발생하여 바람이 발생한다※ 바람의 방향, 16방위해륙풍 : 하루를 주기로 바람이 바뀌는 바람- 해풍 : 땅의 비열이 물의 비열보다 낮아, 낮에 가열되는 속도가 빨라서 생기는 온도차에 의해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육풍 : 땅의 비열이 물의 비열보다 낮아, 밤에 냉각되는 속도가 빨라서 생기는 온.. 더보기
기권과 우리 생활(2) - 구름과 비 기권과 우리 생활구름과 비- 상대 습도와 포화 수증기포화 수증기량 : 일정한 양의 공기에 최대로 함유될 수 있는 수증기의 양 ※ 증발 : 액체 표면의 분자들이 인력을 끊고 기체가 되는 현상 상대 습도 : 현재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에 대한 현재 공기의 수증기량의 비(측정-건습구 온도계) - 구름과 강수강수 : 강설, 강수 등을 총칭하며, 응결한 수증기가 지표면에 내리는 현상구름의 생성원리 : 상승한 공기의 온도가 감소(단열 팽창)하여 상공에서 물방울로 존재하게 된다(응결)▲ 단열 팽창의 과정과 구름의 생성-> 공기가 상승하면, 구름이 생성된다. 공기의 상승운동 = 구름의 생성 구름의 종류 1) 형태에 따른 분류 층운(넓게 퍼진 형태) vs 적운(높게 쌓인 형태)2) 위치에 따른 분류① 상층운 - 지표에.. 더보기
물질의 특성(2) - 세기 성질 물질의 특성세기 성질 : 물질의 양과는 관계없이 정해지는 성질- 분자간 인력 : 어떤 물질을 이루는 분자와 분자 사이의 인력분자 간 인력은 분자량, 극성 등에 물질에 양과는 관계없이 정해지므로 물질의 세기 성질, 물질의 특성이고,분자 간 인력에 의해 정해지는 물질의 성질 또한 물질의 특성이다 - 밀도 : Density : 어떤 물질의 단위 부피에 대한 질량밀도는 분자 간 인력에 의해 결정된다. 즉, 물질의 양과는 관계없이 정해지는 물질의 세기 성질, 물질의 특성이다.-> 밀도가 같으면 같은 물질이다 ◎밀도가 큰 물질은 밀도가 작은 물질 아래로 가라앉는다.(부피-밀도 그래프의 개형, 부피가 커지면 밀도는 감소한다)(질량-밀도 그래프의 개형, 질량이 커지면 밀도는 증가한다) - 녹는점 : Meting Poi.. 더보기
작품의 의도와 맥락(1) - 시조 두 수 시조 두 수훈민가 - 정철갈래평시조성격교훈적, 직설적, 계몽적제재좋은 벗의 가치주제좋은 벗의 소중함특징1) 쉬운 언어를 사용하여 백성들을 가르치고자 함 : 훈민(訓 가르칠 훈, 民 백성 민)2) 설의적 표현(문장을 의문형으로 표현하여 강조함 c.f 수사 의문문)을 사용함 : 독자가 스스로 결론을 내리게 함 굼벵이 매미가 되어 - 작자 미상갈래평시조성격우의적, 교훈적제재벼슬살이 처세주제벼슬길의 험난함을 경계하라특징1) 우화적으로 풍자(동물에 빗대어) : 벼슬살이의 위험을 우의적으로 풍자2) 명령형 어미를 사용하여 교훈을 직접적으로 전달시조우리 민족이 만든 독특한 정형시, 노래의 가사(즉, 노래이며 동시에 문학이다)- 시조의 특징1) 3장 구성 : 초, 중, 종장2) 글자수 : 6구, 45자 내외3) 운율 .. 더보기
물질의 특성(1) - 겉보기 성질, 크기 성질 물질의 특성01 물질의 특성 : 그 물질만이 가지는 고유한 성질- 겉보기 성질사람의 감각/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성질 | 한계 : 사람의 감각의 한계 - 크기 성질과 세기 성질크기 성질 : 물질의 '양,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성질세기 성질 : 물질의 '양, 크기'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성질 - 물질의 고유한 성질(=물질의 특성) - 크기 성질1) 부피물질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 ① 고체의 부피 측정모양이 규칙적인 고체 : 자를 이용하여 길이 측정 후 부피 계산모양이 규칙적이지 않은 고체 : 눈금 실린더를 이용하여 부피 차이를 이용해 계산(용해시키지 않는 액체)물체의 부피 = 늘어난 부피 - 원래 부피 ② 액체의 부피 측정눈금 실린더, 피펫, 뷰렛, 부피 플라스크, 스포이트 등 이용 ③ .. 더보기
효과적인 표현 : 보리 효과적인 표현보리 - 한용운 갈래수필성격애찬적, 교훈적제재보리주제보리의 강한 생명력을 예찬, 고진감래(苦盡甘來)구성시간의 흐름을 따른 구성.가을농부가 보리를 찬 땅 속에 심음겨울보리가 겨울의 시련을 이겨 냄봄보리가 온 세상에 무성하게 자라남여름보리가 익어 농부가 수확함특징다양한 비유를 활용하여 화려한 느낌을 줌 보리를 통해 삶의 교훈을 드러냄(성찰)- 강인한 생명력 : 겨울에도 깊이 뿌리박고 자라는 보리- 인내와 덕성 : 겨울을 견뎌내고 봄이 되자 싹틔우는 보리-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삶 : 농부에게 기쁨을 주는 보리보리를 의인화하여 표현함다양한 표현 방식비유 원관념을 보조 관념에 빗대어 표현 : 생각, 정서를 생생하게 전달 직유 '~처럼', '~같이' : 원관념을 보조 관념에 직접 빗댐 은유 직접.. 더보기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2) - 통일 신라와 발해의 문화~신라 사회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03.1 통일 신라의 문화신라 문화의 특징 : 한반도 문화 + 당 문화 = 통일 신라 문화불교원효 : 종파 간 갈등을 해소하려 노력 - 정토 신앙, 불교의 대중화 - 선종의상 : 화엄종 창시 - 교종혜초 : 왕오천축국전건축물 1) 불국사 : 석가탑, 다보탑, 청운교, 백운교 석가탑 - 무구정광 대다나리경 발견됨 다보탑 청운교, 백운교 2) 석굴암 : 인공 석굴 사원 3) 불상 : 석굴암 본존불상 유학유교의 정치 이념 수용유학 교육 : 국학 설치, 독서삼품과(관리 선발 제도)유학자1) 설총 - 이두 정리, 우리말 기록2) 강수 - 외교 문서 작성3) 김대문 : 신라 역사, 풍토서 작성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4) 최치원 : 빈공과 합격, 토황소격문, 계원필경(개인문집) .. 더보기
우리말의 문장 우리말의 문장01 문장의 유형종결 어미 : 문장을 끝나게 하는 어미, 문장의 유형을 구분- 평서문듣는 이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것 없이,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다, -네, -ㅂ니다)-의문문말하는 이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니, -는가, -ㅂ니까)- 명령문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떠한 행동을 요구하는 문장(-어다, -게, -십시오 등)- 청유문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도록 요청하는 문장(-ㅂ시다, -자, -세)- 감탄문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의식하지 않거나, 독백하는 상태에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구나, -군) 문장의 종결 표현의 기능문장 끝의 억양으로 뜻이 나눠지는 경우 : 종결 어미가 같아도, 다른 의미를 갖는 경우문장 끝의 억양으로 의미를 구분한다유형이 같.. 더보기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1) - 신라의 삼국 통일~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발전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01 신라의 삼국 통일고구려의 대외 항쟁6세기 말의 동아시아 국제 정세 : 남북 세력 vs 동서 세력 1) 중국의 수, 당 - 신라의 동서 세력2) 돌귈 - 고구려 - 백제 - 왜의 남북 세력고구려와 수의 전쟁1) 수나라가 고구려에게 신하의 예우 요구2) 고구려가 요서를 선제타격① 수 문제의 1차 침입과 실패(598)② 수 양제의 2차 침입, 육군은 요동성, 수군은 평양성 공격 -> 실패, 별동대 진격(평양성)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③ 수나라의 쇠퇴, 멸망(618년)고구려와 당의 전쟁당의 중국 통일, 당 태종의 고구려 압박 -> 천리장성 축조 + 연개소문의 정변(강경파)당 태종 침입 -> 요동성 함락, 안시성 전투 승리로 방어 성공 수, 당 격퇴 -> 민족의 방파제 역할, Bu..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