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권과 우리 생활
구름과 비
- 상대 습도와 포화 수증기
포화 수증기량 : 일정한 양의 공기에 최대로 함유될 수 있는 수증기의 양
※ 증발 : 액체 표면의 분자들이 인력을 끊고 기체가 되는 현상
상대 습도 : 현재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에 대한 현재 공기의 수증기량의 비(측정-건습구 온도계)
- 구름과 강수
강수 : 강설, 강수 등을 총칭하며, 응결한 수증기가 지표면에 내리는 현상
구름의 생성원리 : 상승한 공기의 온도가 감소(단열 팽창)하여 상공에서 물방울로 존재하게 된다(응결)
▲ 단열 팽창의 과정과 구름의 생성
-> 공기가 상승하면, 구름이 생성된다.
공기의 상승운동 = 구름의 생성
구름의 종류
1) 형태에 따른 분류
층운(넓게 퍼진 형태) vs 적운(높게 쌓인 형태)
2) 위치에 따른 분류
① 상층운 - 지표에서부터 6km 이상에 존재(권운, 권적운, 권층운)
② 중층운 - 지표에서부터 2~6km 사이에 존재(고적운, 고층운)
③ 하층운 - 지표에서부터 2km 사이에 존재(적운, 층적운, 층운, 난층운)
④ 연직운 - 지표에서부터 연직 방향으로 길게 존재(적란운)
강수 과정
1) 병합설 : 저위도, 따뜻한 기온(0ºC 이상)
2) 빙정설 : 고위도, 찬 기온(0ºC 이하)
'Middle School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권과 우리 생활(4) - 날씨와 우리 생활 (0) | 2017.09.21 |
---|---|
기권과 우리 생활(3) - 기압과 바람 (0) | 2017.09.18 |
물질의 특성(2) - 세기 성질 (0) | 2017.09.10 |
물질의 특성(1) - 겉보기 성질, 크기 성질 (0) | 2017.09.10 |
기권과 우리 생활(1) - 기권 (0) | 2017.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