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권과 우리 생활
날씨와 우리 생활
- 기단의 성질 : 기단이 생성된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
대륙 |
해양 |
고위도 |
저온건조 |
저온다습 |
저위도 |
고온건조 |
고온다습 |
- 우리나라의 기단
| 대륙 | 해양 |
고위도 | 시베리아 기단-저온건조 | 오호츠크 해 기단-저온다습 |
저위도 | 양쯔 강 기단-고온건조 | 북태평양 기단, 적도 기단-고온다습 |
전선 : 찬 기단과 더운 기단이 만나 생기는 경계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선
└ 전선면
- 온난 전선( )
진행 | 더운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올라가며 |
진행 속도 | 느리다(더운 공기는 밀도가 낮아 가볍다) |
비 | 전선 앞쪽 넓은 지역에 이슬비 |
전선 통과 후 날씨 | 기온이 상승, 기압이 감소, 맑은 날씨 |
구름 | 층운형 |
- 한랭 전선( )
진행 | 찬 공기가 더운 공기를 밀어 올리며 |
진행 속도 | 빠르다(찬 공기는 밀도가 높아 무겁다) |
비 | 전선 뒷쪽 좁은 지역에 소나기 |
전선 통과 후 날씨 | 기온이 하강, 기압이 증가, 흐린 날씨 |
구름 | 적운형 |
- 폐색 전선( )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잡아 겹쳐진 전선 : 두 전선의 진행 속도 차이 때문에 발생
- 정체 전선( )
맞붙는 두 기단의 힘이 비슷하여, 한 자리에 오랫동안 머무르는 전선
기압과 날씨
- 고기압 : 하강기류 발생 -> 구름이 생성되지 않음 -> 맑은 날씨
- 저기압 : 상승기류 발생 -> 구름이 생성됨 -> 흐린 날씨
한대 전선대(온대 저기압)
- 한대 전선대의 발생
극에서 지표면을 타고 내려오는 차가운 기단과 적도에서 극으로 이동하던 중 하강한 따듯한 기단이 만나 전선을 형성한다.
- 한대 전선대의 이동
1) 편서풍의 영향으로 서에서 동으로 이동한다
2)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보다 진행 속도가 빨라 며칠 후 폐색 전선이 되어 소멸한다
온난 전선 통과 전 |
1) 찬 기단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다. 2) 남동풍 3) 층운형 구름 4) 넓은 지역에 지속적인 비 |
온난 전선 통과 후 |
1) 따뜻한 기단의 영향으로 기온이 높다 2) 남서풍 3) 맑은 날씨 |
한랭 전선 통과 후 |
1) 찬 기단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다 2) 북서풍 3) 적운형 구름 4) 좁은 지역에 소나기 |
열대 저기압
전선을 동반하지 않으며, 바다에서 수증기의 급격한 상승으로 발생
(허리케인, 태풍, 윌리윌리 : 발생 해양에 따라 명명됨)
날씨와 우리 생활
- 일기 기호
- 일기 예보
기상 요소 관측 |
자료 처리 및 일기도 작성 |
일기도 분석/예보관 회의 |
일기 예보 전달 |
'Middle School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권과 우리 생활(3) - 기압과 바람 (0) | 2017.09.18 |
---|---|
기권과 우리 생활(2) - 구름과 비 (0) | 2017.09.18 |
물질의 특성(2) - 세기 성질 (0) | 2017.09.10 |
물질의 특성(1) - 겉보기 성질, 크기 성질 (0) | 2017.09.10 |
기권과 우리 생활(1) - 기권 (0) | 2017.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