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권과 우리 생활
기압과 바람
기압 : 공기가 단위 면적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
- 상하좌우 모든 방향에 작용
- 기압은 공기의 밀도가 높을수록 커지고,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진다(중력)
※ 계란 실험
기압의 측정 : 토리첼리 수은 기둥 실험
바람 : 공기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방향은 지표면 기준)
- 지표면이 가열되는 정도가 달라 기압차가 발생하고, 이 때 발생한 기압차로 인해 공기 밀도차가 발생하여 바람이 발생한다
※ 바람의 방향, 16방위
해륙풍 : 하루를 주기로 바람이 바뀌는 바람
- 해풍 : 땅의 비열이 물의 비열보다 낮아, 낮에 가열되는 속도가 빨라서 생기는 온도차에 의해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 육풍 : 땅의 비열이 물의 비열보다 낮아, 밤에 냉각되는 속도가 빨라서 생기는 온도차에 의해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 비열 차이로 인한 바다와 육지의 하루 사이의 온도 그래프
계절풍 : 1년을 주기로 바람이 바뀌는 바람
- 해양풍 : 해풍과 같은 원리로, 여름에 가열되는 속도의 차이로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 대륙풍 : 육풍과 같은 원리로, 겨울에 냉각되는 속도의 차이로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바람
대기 대순환 : 위도차로 인한 에너지 불균형으로 인해 저위도의 공기가 고위도로 이동하는 현상
- 대기 대순환이 일어나는 원인 :
저위도 : 지구 복사 에너지로 방출하는 에너지 < 태양 복사 에너지로 흡수하는 에너지
↕
고위도 : 지구 복사 에너지로 방출하는 에너지 > 태양 복사 에너지로 흡수하는 에너지
- 대기 대순환의 모형 :
1) 자전하지 않을 경우 : 전향력이 없다
지구가 자전하지 않을 경우, 바람은 북반구에선 북풍, 남반구에선 남풍만이 불 것이다.
2) 자전하는 경우 : 전향력이 존재한다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생겨난 전향력에 의해 휘어져서 위와 같이 층이 나뉘게 된다.
※ 전향력
- 순환 세포
1) 헤들리 순환(0~30)
적도에서 상승하여 이동하는 공기가 전향력에 의해 휘어져서 냉각된다
2) 페렐 순환(30~60)
하강한 공기는 지표를 따라 이동하거나, 적도로 돌아간다. 적도로 돌아간 공기는 다시 가열되어 상승하고, 지표를 따라 이동한 공기는 극에서 적도로 이동하는 공기와 만나 다시 상승하게 된다(이 때, 한대 전선대를 형성한다)
3) 극순환(60~90)
극에서 냉각된 공기는 지표를 따라 저위도로 이동하게 되고, 한대 전선대에서 더운 공기와 만나 상승한다.
- 대기 대순환과 기압대
- 대기 대순환과 바람
- 대기 대순환과 표층 순환 : 바람에 의한 마찰로 발생, 풍향과 해류의 방향이 유사
- 대기 대순환과 표층 순환의 역할 : 적도 부근의 남는 에너지를 극 부근으로 수송
'Middle School >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권과 우리 생활(4) - 날씨와 우리 생활 (0) | 2017.09.21 |
---|---|
기권과 우리 생활(2) - 구름과 비 (0) | 2017.09.18 |
물질의 특성(2) - 세기 성질 (0) | 2017.09.10 |
물질의 특성(1) - 겉보기 성질, 크기 성질 (0) | 2017.09.10 |
기권과 우리 생활(1) - 기권 (0) | 2017.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