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ddle School/Science

소화, 순환, 호흡, 배설(2) - 순환

소화, 순환, 호흡, 배설

02. 순환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액을 원심 분리기를 통해서 분리하면, 위쪽에는 투명한 노란 액체 혈장이, 아래쪽으로는 혈구들이 모인다.

- 혈장

혈장은 혈액을 분리시켰을 때 혈구 위로 뜨는 액체 성분이다. 혈장의 대부분을 물이 차지하고, 소화 과정에서 운반되는 영양소, 즉 포도당, 아미노산 등이나 혈장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혈구



혈구는 혈액을 분리시켰을 때 아래쪽에 가라앉는 세포 성분들이다.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구의 구성)

혈구

 

혈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산소를 운반한다.

붉은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을 갖고 있어 붉은빛을 띈다[각주:1]

백혈구

 

김자액[각주:2]을 떨어뜨리면 보라색으로 염색된다 -> 핵이 있다.

혈액 중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크기는 가장 크다.

체내에 침투한 세균을 둘러싸 분해하는 식균 작용을 한다.

혈소

 

핵이 없고 일정한 모양이 없고 크기가 가장 작다.

출혈이 나면 혈액을 응고시켜 출혈을 막는다.

혈소판이 부족한 사람은 출혈이 잘 멈추지 않는다 : 혈우병


심장의 구조와 기능

- 심장 : 주먹만 한 크기의 근육질 주머니,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온몸에 피를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한다


 심방

우심방

체순환을 한 혈액을 받는 곳

대정맥 

좌심방 

폐순환을 한 혈액을 받는 곳 

폐정맥 

 심

우심실 

혈액을 몸로 내보내는 곳 

대동맥 

좌심실 

혈액을 폐으로 내보내는 곳 

폐동맥 


판막 : 심방과 심실 사이, 심실과 동맥 사이에 있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 심장의 기능

① 심장 박동 : 심방과 심실이 교대로 수축-이완을 반복하여 심방의 혈액을 심실로, 심실로 들어온 혈액을 폐와 몸으로 보낸다.

② 심장 박동의 자동성
심장은 스스로 수축-이완을 반복하는데, 이 때문에 몸에서 떼어 놓더라도 일정 시간 스스로 박동한다.
또한, 운동을 하거나, 흥분했을 때는 신경의 작용으로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운동을 멈추거나 안정한 상태가 되면 느려진다.

혈관의 구조와 특징


동맥 

-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


- 탄력이 크고 두꺼운 근육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압이 가장 높다


- 맥박 : 심실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혈관 벽에 생기는 파동, 동맥에 생긴다.

※ 맥박 수≒심장 박동수

 모세 혈관

- 동맥과 정맥을 이어 주는 가느다란 혈관, 혈관벽이 한 층으로 되어 있다


- 혈액과 조직세포 사이에 물질 교환이 일어난다


- 온몸에 그물처럼 퍼져 있고, 혈류가 느리다

정맥

-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


- 동맥보다 얇은 근육 층으로 되어 있고, 혈압이 매우 낮다[각주:3]


- 역류를 막기 위해 판막이 있다.


혈액 순환


체순환 

순환 


혈액이 심장에서 출발해 온몸을 거쳐 심장으로 돌아오는 순환,

혈액은 세포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 등을 받는다.

 

혈액이 심장에서 출발해 폐를 거쳐 심장으로 돌아오는 순환

혈액은 폐에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고 산소를 받는다. 

 

좌심실-대동맥-모세 혈관(조직 세포)-대정맥-우심방


우심실-폐동맥-모세 혈관(폐)-폐정맥-좌심방 

 

동맥혈->정맥혈(산소多->산소少)


정맥혈->동맥혈 

 


Print Friendly and PDF
  1. 산소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 선홍색, 적게 가지고 있으면 암적색을 띈다 [본문으로]
  2. 세포핵은 보라색으로, 세포질은 붉은색으로 염색하는 염색약 [본문으로]
  3. 주변 근육의 힘으로 혈액이 이동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