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lia Language
Julia는 수치 연산을 위해 개발된 High Level, High Performance의 동적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고수준의 컴파일러, 병렬 연산과 많은 수치연산 라이브러리를 지원하고 있다(수치연산, 선형대수, 난수생성, 문자열 가공 등) 비슷한 언어인 Python에 비해 빠른 처리 속도를 보여주어 머신 러닝 등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Previous Posting
1. 변수
변수는 값을 담는 상자와 같다. 값은 1, "Julia" 같은 숫자나 문자 등의 데이터를 뜻하며, 변수의 이름은 그 값을 나타낸다.
var = 123 # 변수와 값은 등호(=)를 이용해 묶어(bound)진다
foo = 4354; favorite_digimon = "Dukemon"; α = "Alpha"
# 변수의 이름은 알파벳, 유니코드, 하이픈(_) 등의 조합을 통해 만들어진다
# Latex 기호는 백슬래시(\)와 기호의 이름, 그리고 Tab을 통해 입력한다
변수는 담고 있는 값에 따라 그 타입이 결정되며, 변수의 타입은 typeof(var) 함수로 알 수 있다.
print(typeof(foo), "\n"); print(typeof(favorite_digimon), "\n")
# typeof 함수를 통해 변수의 type을 알 수 있다
표현식은 변수와 연산자/함수가 결합된 구문(口門)으로, 식을 계산하고 결과를 반환한다.
foo = 12; bar = 32; print(foo+bar, "\n")
# 표현식은 식을 계산하고 그 값을 반환한다
Next Post
02. 변수와 타입(2) - 정수형 리터럴과 부동소수점 리터럴, Bool 타입
Code
본 포스팅에서 사용된 Julia 코드는 이 시리즈의 Github 저장소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Programming > Julia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컨테이너, 값을 담는 상자(1) - 배열 : Array (2) | 2018.01.17 |
---|---|
4. 변수와 타입(4) - 복소수 리터럴, 실수 리터럴 (0) | 2017.11.12 |
3. 변수와 타입(3) - Char 리터럴, 문자열 리터럴 (0) | 2017.11.05 |
2. 변수와 타입(2) - 정수형 리터럴과 부동소수점 리터럴, Bool 타입 (0) | 2017.10.22 |
0. Julia 설치하기 (0) | 2017.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