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dle School/History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1) - 신라의 삼국 통일~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발전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6. 29. 00:11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01 신라의 삼국 통일
고구려의 대외 항쟁
6세기 말의 동아시아 국제 정세 : 남북 세력 vs 동서 세력
1) 중국의 수, 당 - 신라의 동서 세력
2) 돌귈 - 고구려 - 백제 - 왜의 남북 세력
고구려와 수의 전쟁
1) 수나라가 고구려에게 신하의 예우 요구
2) 고구려가 요서를 선제타격
① 수 문제의 1차 침입과 실패(598)
② 수 양제의 2차 침입, 육군은 요동성, 수군은 평양성 공격 -> 실패, 별동대 진격(평양성)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③ 수나라의 쇠퇴, 멸망(618년)
고구려와 당의 전쟁
당의 중국 통일, 당 태종의 고구려 압박 -> 천리장성 축조 + 연개소문의 정변(강경파)
당 태종 침입 -> 요동성 함락, 안시성 전투 승리로 방어 성공
수, 당 격퇴 -> 민족의 방파제 역할, But 고구려는 국력 약화
신라의 삼국 통일
1) 당시 삼국의 상황
고구려 : 수, 당과의 지속된 전쟁 -> 국력 약화 및 연개소문 독재
백제 : 의자왕의 신라 공격 -> 대야성 포함 40여개 성 함락
신라 : 김춘추가 고구려, 왜에 도움 요청, 실패하고 당과의 군사 동맹 결성(나-당 동맹)
2)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2-1) 백제의 부흥 운동
- 흑치상지와 복신/도침의 부흥 운동 -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 - 왜에 지원군 요청 |
200여개 성을 회복하나, 지도층의 내분 |
백강 전투에서 패배하고 부흥 운동 실패 |
2-2) 고구려의 부흥 운동
검모잠, 고연무의 부흥운동, 안승 추대하나 내분으로 실패
2-3) 나당 전쟁
당의 한반도 지배 욕구 : 안동 도호부, 웅진 도독부, 계림 도독부 설치로 한반도를 차지하려 함
-> 신라가 고구려 부흥군과 함께 백제의 옛 땅을 회복하고, 뒤이어 파견된 군대와의 전투에서 승리한다
<메소성, 기벌포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고, 대동강 이남을 확보(676)
3) 신라의 삼국 통일의 한계와 의의
한계 |
- 외세를 끌어들인 통일 - 영토가 대동강 이남에 국한됨 |
의의 |
- 자국의 어려움 극복 - 당을 무력으로 몰아낸 자주적인 통일 - 고구려, 백제 문화와 신라 문화가 융합되어 새 문화 발생 - 우리 역사상 최초의 통일 |
02 통일 신라와 발해의 성립과 발전
통일 신라의 발전
1) 민족 융합 정책
① 고구려와 백제의 옛 지배층에게 골품 부여, 관리 등용
② 지방 제도, 군사 제도 정비 : 9서당 -> 수도 상비군, 고구려, 말갈, 백제계 포함
2) 통치 제도 정비
주 : 통치 단위, 현재의 '도' 격
신라, 백제, 고구려 땅에 각각 3주씩 설치 -> 민족 융합 정책
주는 군, 현으로 나뉘고 각각 지방관이 파견되거나 촌주를 뽑았다
소경 : 금성(경주)가 동남향에 치우쳐 있어서,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설치한 지방 중심지
② 9서당 10정
서당 : 수도 상비군, 고구려 백제 말갈 신라계 포함해서 배치
정 : 지방군, 국경 지역에 많이 배치
③ 녹읍, 관료전, 정전
녹읍 : 귀족들이 농민들에게 조세를 걷고, 노동력을 징발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지급한 토지
관료전 : 관리들이 관직에 복무하는 대가로 받은 토지
정전 : 농민들에게 지급하고 조세를 징수한 토지
3) 민정 문서
일본에서 발견된 신라 촌락 문서 - 인구수, 토지수, 가축, 나무 등을 기록
발해의 건국과 발전
강제 이주된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이 군사를 일으켜 동모산에서 건국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
스스로를 고려(고구려)라 칭하고 왕을 고려국왕이라 칭함 -> 고구려를 계승하는 의지
발해의 발전 과정
대조영(고왕) 건국 이후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을 빠르게 흡수, 고구려 영토 회복
그러나, 9세기 이후 거란의 침략으로 멸망한다.
발해의 통치 제도
1) 독자 연호 사용, 왕을 황상이라 부름 : 중국과 대등한 황제국가
2) 당의 제도 수용 : 3성 6부제, 외형은 본땄지만 명칙과 방식에서 독자성 유지
3) 지방 행정 : 5경 15부 62주
경 : 전략적 중요 지역에 설치한 특별 행정 구역 - c.f 소경(통일신라)
부 : 부족 생활권 중심으로 설치한 지방 행정 중심지
주 : 지방관을 파견한 지방 행정 구역
4) 군사 조직 : 중앙군 10위, 지방 주요 지점에 군사 기관 설치
유득공의 발해고 : 남북국 시대 용어 최초 사용, 발해를 최초로 우리 역사로 기록
- 발해가 외에 보낸 서신에 '고려'로 지칭하며 고구려를 이은 나라임을 명시
- 발해는 옛 고구려 땅에 고구려 유민의 주도로 세워진 나라
- 발해는 후에 고려로 흡수되었고, 고려 또한 발해를 형제의 나라로 인식
통일 신라의 대외 교류
통일 이후 정치 안정, 늘어난 경제력을 바탕으로 여러 나라와 활발히 교류
국제 무역항 : 당항성, 울산
1) 이슬람 상인 왕래-서역과의 교류
2) 신라 : 금, 은 세공품 수출
2) 당 : 비단, 서적
3) 서역 : 보석, 향신료 수입 : 금동 사리기(유리), 왕릉에 조각된 서역인 조각상
3) 일본에 면직물, 놋그릇 등을 수출하고, 유교 사상 전수
당과 신라의 교류
신라방 : 신라인들이 모여 사는 마을
신라소 : 신라방을 관리하는 관청
신라원 : 신라인들을 위한 사찰
신라관 : 신라인들을 위한 숙박 시설
빈공과 : 당의 과거시험, 신라 유학생(김운경, 최치원 등)이 합격
중계 무역
장보고 : 청해진 설치하여 해상 무역 장악, 해적 소탕
발해의 대외 교류
5도를 통한 무역, 교통로 정비
당 |
압록도, 영주도 + 발해관 설치 및 빈공과 합격 |
신라 |
신라도 |
일본 |
일본도 |
거란 |
거란도 |
